2017. 1. 20. 21:04

1. 순열

  1. 정의 : n개에서 r개 택한 순열(Permutation)의 수를 

    이라 한다. 

    (단, n≥r)

    (ⅰ) 


        

    (ⅱ) 





    (ⅲ) 

    (직순열)은 

      (1) 일렬로 배열하는 경우

      (2) 순서를 생각하는 경우

      (3) 중복을 불허하는 자리수의 경우 등에 사용된다. 

  2.  인접순열(이웃순열)

    (1) 인접할 때 : 인접하는 것들을 묶어서 하나로 생각하여 배열하고, 묶인 부분 자체 내에서의 순열의 수를 곱한다. 

    (2) 인접하지 못할 때 : 인접 가능한 것을 먼저 배열하고, 그 사이사이에 인접하지 못하는 것들을 배열하는 순열의 수를 곱한다.

  3. 교대순열

    남녀 같은 수를 교대로 세울 때는 '두가지 경우'로 나누어 생각한다. 

    예) 남자 n명, 여자 n명을 남녀교대로 일렬로 세우는 방법 => n!×n!×2

  4. 적어도 하나의 처리방법: 여사건을 찾아라. 

    (구하는 경우의 수) = (전체) - (여사건)


'사적 공간 > 數 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함수 (2) 합성함수와 역함수  (0) 2017.01.20
함수 (1)  (0) 2017.01.20
순열 (2)  (0) 2017.01.20
경우의 수 (2)  (0) 2017.01.20
경우의 수 (1)  (0) 2017.01.20
Posted by 골든스타 공인중개사사무소